제3절 복귀섭리시대를 형성하는 각 시대와 그의 연수

Language


Highlights


Section 3. The Periods in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ir Lengths

복귀섭리시대(復歸攝理時代)는 상징적 동시성(象徵的 同時性)의 시대인 복귀기대섭리시대(復歸基臺攝理時代)를 형상적(形象的)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하는 시대이다. 이제 이 시대를 형성한 각 시대와 그 연수(年數)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기로 하자.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which was the age of image parallels, was to restore through indemnity the Age of the Provide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toratio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Let us investigate the periods in this age and how their lengths were determined.

Ⅰ. 애급고역시대 400년

3.1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Slavery in Egypt

노아는 심판(審判) 40일의 ‘사탄 분립기대’ 위에서 ‘믿음의 기대’를 조성하였던 것인데 함의 실수로 그것이 무너지자, 하나님은 다시 아브라함을 그와 같은 입장에 세우시기 위하여 400년을 탕감복귀(蕩減復歸)한 기대 위에서 그로 하여금 ‘상징헌제(象徵獻祭)’를 하도록 명하셨던 것이다. 그러나 아브라함의 헌제 실수로 말미암아 그 기대는 다시 사탄의 침범을 당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되어 하나님은 사탄에게 내준 그 400년의 기대를 다시 찾아 세우시기 위하여, 이스라엘 민족으로 하여금 사탄을 재분립(再分立)하는 애급고역 400년을 치르게 하셨던 것이니(창 15 : 13), 이 시대를 애급고역시대(埃及苦役時代)라고 한다(후편 제1장 제3절 Ⅰ). 이 시대는 상징적(象徵的)인 동시성(同時性)의 시대 중 아담으로부터 노아까지의 1600년을 형상적(形象的)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하는 시대였다.

Noah laid the foundation of faith after fulfilling the forty days of the flood judgment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Satan. When this foundation was shattered due to Ham’s mistake, God tried to raise up Abraham to the same position as Noah by commanding him to make a symbolic offering while standing upon the foundation which had been laid through the intervening period of four hundred years. However, due to Abraham’s mistake, this foundation was defiled by Satan. To recover this foundation of four hundred years, God had the Israelites undergo four hundred years of slavery in Egypt (Gen. 15:13); (cf. Foundation 3.1.2.1) and separate Satan once more. The period of slavery in Egypt was the image parallel to the period of sixteen hundred years from Adam to Noah i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It was to restore that earlier period through parallel indemnity conditions.

Ⅱ. 사사시대 400년

3.2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the Judges

열왕기상 6장 1절에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사백팔십년이요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 지 사년 시브월 곧 이월에 솔로몬이 여호와를 위하여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였더라고 하신 말씀이 있다. 여기에서 사울왕의 재위 40년과 다윗왕의 재위 40년을 지난 후 솔로몬왕 4년이 바로 이스라엘 자손들이 애급(埃及) 땅에서 나온 지 480년이라고 한 것을 보면,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에서 가나안으로 돌아온 이후 사울왕이 즉위할 때까지는 약 400년 기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기간을 사사시대(士師時代)라고 한다.

It is recorded that King Solomon began to build the Temple 480 years after the Exodus from Egypt, in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I Kings 6:1). Since King Solomon’s reign followed the forty-year reign of King Saul (Acts 13:21) and the forty-year reign of King David, we can deduce that there was a period of approximately four hundred years from the time the Israelites entered Canaan until the enthronement of King Saul. This was the period of the judges.

모세를 중심한 이스라엘 민족은, 노아로부터의 400년 ‘사탄 분립기대’ 위에 세워졌던 아브라함의 입장을 민족적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애급고역(埃及苦役) 400년의 ‘사탄 분립기대’ 위에 섰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모세 대신 여호수아를 중심하고 가나안으로 돌아온 이스라엘의 불신으로 인하여 이 기대는 또다시 사탄의 침범을 당하게 되었었다. 이와 같이 되어 이스라엘 민족에게는 사탄에게 잃어버린 이 애급고역 400년 기대를 재탕감복귀(再蕩減復歸)하기 위한 사탄 재분립기간(再分立期間)이 있어야 했던 것이다. 이러한 기간으로 다시 세워진 것이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에서 가나안으로 돌아온 후로부터 사울왕이 즉위할 때까지의 사사시대 400년이었던 것이다.

The Israelites under Moses were to secure the foundation of having separated Satan through their slavery in Egypt, thus restoring on the national level the foundation upon which Abraham had stood – the foundation of having separated Satan laid during the four hundred years from Noah to Abraham. However, after they entered Canaan under the leadership of Joshua, Moses’ successor, they again turned faithless, allowing Satan to again defile this foundation of four hundred years. The Israelites needed to undergo another period for the separation of Satan before they could restore this foundation through indemnity. The period of the judges, which ran approximately four hundred years from the time the people entered Canaan until the enthronement of King Saul, was set up for this purpose.

그리고 이 시대는 상징적인 동시성의 시대 중 노아로부터 아브라함까지의 400년을 형상적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하는 시대였다.

The period of the judges was the image parallel to the period of the four hundred years from Noah to Abraham i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It was to restore that earlier period through parallel indemnity conditions.

Ⅲ. 통일왕국시대 120년

3.3 The One-Hundred-and-Twenty-Year Period of the United Kingdom

복귀기대섭리시대(復歸基臺攝理時代)를 탕감복귀하기 위하여 복귀섭리시대(復歸攝理時代)가 있게 되었으므로 이 섭리노정(攝理路程)을 출발한 아브라함은 아담의 입장이었고, 모세는 노아의 입장이었으며, 사울왕은 아브라함의 입장이었던 것이다. 왜냐하면 아브라함은 복귀기대섭리시대의 종결자(終結者)인 동시에 복귀섭리시대의 출발자(出發者)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브라함은 ‘메시아를 위한 가정적인 기대’를 세운 후에, 그 기대 위에서 ‘메시아를 위한 민족적인 기대’를 세워야 했었다. 그리하여 아브라함 때는 하나님이 ‘메시아를 위한 가정적인 기대’를 이루려 하시기 제3차로서 그때에는 그것을 기필코 이루셔야 했던 것과 같이, ‘메시아를 위한 민족적인 기대’를 이루시려던 섭리도 역시 사울왕 때가 그 제3차로서 그때에는 기필코 그것을 이루셔야 했었다.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was set up to restore through indemnity the Age of the Provide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toration. Therefore, Abraham, who commenced this providential age, was in the position of Adam; Moses was in the position of Noah; and King Saul was in the position of Abraham. Abraham was a transitional figure; he was responsible both to consummate the Age of the Provide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toration and to begin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braham was called to lay the family foundation for the Messiah as the basis for the national foundation for the Messiah. God had to lay the family foundation for the Messiah without fail in Abraham’s day because it was His third attempt. Likewise, in King Saul’s day, God was working to establish the national foundation for the Messiah for the third time. Hence, God again had to accomplish this providence without fail.

그런데 아브라함은 노아 때에 세워졌던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한 수리적(數理的)인 탕감기간(蕩減期間)인 120년, 40일, 21일, 40일 등을 ‘상징헌제(象徵獻祭)’를 중심하고 횡적으로 탕감복귀(蕩減復歸)하려다가 실수하여 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여기에서 아브라함은 이것들을 종으로 된 횡적 탕감기간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120년, 40년, 21년, 40년으로 다시 찾아 세웠던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브라함의 입장을 민족적으로 탕감복귀한 사울왕도 역시 아브라함 때와 같이, 모세 때의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한 수리적인 탕감기간인 120년(모세의 40년씩 3차의 생애), 40일(금식기간), 21일(제1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기간), 40년(민족적 가나안 복귀의 광야기간) 등을 성전(聖殿)을 지음으로써 그를 중심하고 횡적으로 탕감복귀하려 하였다. 그러나 사울왕도 역시 불신으로 돌아갔기 때문에(삼상 15 : 11∼23) 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아브라함 때와 같이 이것들을 종으로 된 횡적 탕감기간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통일왕국시대(統一王國時代) 120년, 남북왕조분립시대(南北王朝分立時代) 400년, 이스라엘 민족 포로(捕虜) 및 귀환시대(歸還時代) 210년, 메시아 강림준비시대(降臨準備時代) 400년을 찾아 세워 가지고 마침내 메시아를 맞이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Due to his mistake in his symbolic offering, Abraham did not restore all at once the conditions inherited from Noah’s course in the form of the various numerical periods necessary to restore the foundation of faith, specifically: 120 years, forty days, twenty-one days and forty days. Therefore, the horizontal restoration of these periods had to be extended vertically. They became successive indemnity periods of 120 years, forty years, twenty-one years and forty years in the generations of Abraham’s family. King Saul was to restore Abraham’s position on the national level. By building the Temple, King Saul should have restored in a short time all the indemnity conditions in the form of numerical indemnity periods which had been set up to restore the foundation of faith in Moses’ time. These included: 120 years (the three forty-year courses in Moses’ life), forty days (the period of Moses’ fasts), twenty-one days (the first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and forty years (the wilderness course in the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Nevertheless, King Saul was disobedient (I Sam. 15:11-23) and failed to fulfill God’s Will. As in Abraham’s time, the horizontal restoration of these indemnity periods had to be extended vertically into successive periods: the 120 years of the united kingdom, the four hundred years of the divided kingdoms of north and south, the 210 years of Israel’s exile and return, and the four hundred years of preparation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After all these periods, the people of Israel were finally ready to receive the Messiah.

그러므로 통일왕국시대는 모세가 민족적 가나안 복귀를 위하여 3차에 걸쳐서 ‘믿음의 기대’를 세웠던 120년을 탕감복귀하는 기간이었다. 이것을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The period of the united kingdom was to restore the 120 years of Moses’ life, during which he made three attempts to lay the foundation of faith for the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Let us examine this parallel more closely.

모세를 중심한 이스라엘 민족이 애급고역(埃及苦役) 400년의 ‘사탄 분립기대’ 위에 선 후에, 모세는 바로궁중 40년으로 ‘믿음의 기대’를 세워 가지고 이스라엘 선민을 인도하여 가나안으로 들어가서 성전(聖殿)을 건축하려 하였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불신으로 말미암아 이 노정은 모세의 미디안광야 40년, 광야 표류기간(曠野漂流期間) 40년으로 연장되었던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스라엘 민족이 사사시대(士師時代) 400년으로써 애급고역(埃及苦役) 400년을 탕감복귀한 기대 위에 선 후, 사울이 유대민족의 첫 왕으로 즉위하여 그의 재위 40년으로 모세의 바로궁중 40년을 탕감복귀함으로써 ‘믿음의 기대’를 세워 가지고 성전을 건축해야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사울왕이 불신으로 돌아감으로 말미암아(삼상 15 : 11 ∼23) 모세 때와 같이 성전 건축의 뜻은 다윗왕 40년, 솔로몬왕 40년으로 연장되어 통일왕국시대(統一王國時代) 120년을 이루게 되었던 것이다.

After the Israelites had endured four hundred years of slavery to separate Satan, Moses laid the foundation of faith through his forty years in the Pharaoh’s palace. He then tried to lead the people into the land of Canaan, where he was to build the Temple. However, due to the people’s faithlessness, this course was prolonged twice. Moses had to lay the foundation of faith anew through the forty-year course in the wilderness of Midian and again through the forty-year course of wandering in the wilderness. Likewise, Saul was enthroned as the king of Israel after the Israelites had restored the four hundred years of slavery in Egypt through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the judges. During the forty years of his reign, King Saul was to lay the foundation of faith by restoring through indemnity Moses’ forty years of life in the Pharaoh’s palace. He was then to build the Temple. Yet when King Saul became faithless, God’s Will to build the Temple was prolonged through the two forty-year reigns of King David and King Solomon, thus constituting a total of 120 years for the period of the united kingdom.

그리고 이 시대는 상징적 동시성의 시대 중 아브라함이 하란을 떠난 후 야곱이 에서에게서 장자(長子)의 기업(基業)을 빼앗을 때까지의 120년을 형상적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하는 시대였다. 따라서 마치 아브라함의 뜻이 이삭을 거쳐 야곱 때에 이루어졌던 것과 같이, 사울왕의 성전이상(聖殿理想)도 다윗왕을 거쳐 솔로몬왕 때에야 이루어졌던 것이다.

This period was the image parallel to the period of 120 years i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from the time Abraham left Haran until Jacob purchased the birthright from his brother. It was to restore that earlier period through parallel indemnity conditions. Just as the dispensation which began with Abraham was fulfilled after its prolongation through Isaac and Jacob, God’s dispensation to build the Temple, which began with King Saul, was extended to King David and King Solomon before it was finally fulfilled.

Ⅳ. 남북왕조분립시대 400년

3.4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the Divided Kingdoms of North and South

사울왕은 그의 40년 재위기간(在位期間)에 성전 건축의 이상(理想)을 이룸으로써 말씀(석판) 복귀를 위한 모세의 금식 40일 기간을 횡적으로 탕감복귀하려 하였었다. 그러나 그가 불신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이 기간을 다시 종으로 된 횡적 탕감기간(橫的 蕩減期間)으로 복귀해야 하였던 것이니, 그것이 바로 통일왕국시대가 북조(北朝) 이스라엘과 남조(南朝) 유대로 분립된 후 유대민족이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 갈 때까지의 400년 남북왕조분립시대(南北王朝分立時代)였던 것이다.

Had King Saul accomplished the dispensation to build the Temple during the forty years of his reign, among the indemnity periods which he would have restored horizontally was Moses’ forty-day fast, which had been carried out to recover the Word as revealed on the tablets of stone. Once King Saul lost faith, this indemnity period had to be restored as a vertical extension of horizontal restoration. This was the origin of the period of the divided kingdoms of north and south, which lasted nearly four hundred years. It began when the united kingdom was divided into Israel in the north and Judah in the south, and it lasted until the people of Judah were taken into exile in Babylon.

이 시대는 상징적 동시성(象徵的 同時性)의 시대 중 야곱이 에서로부터 떡과 팥죽으로 장자의 기업을 빼앗는 조건을 세운 후, 다시 이삭의 축복(祝福)과 하나님의 축복을 받아 가지고(창 28 : 13) 하란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40년 간을 형상적(形象的)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蕩減復歸)하는 시대였다.

This period was the image parallel to the forty-year period i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from Jacob’s purchase of the birthright from Esau until he received the blessings of Isaac and God (Gen. 28:13) and went into Haran. It was to restore that earlier period through parallel indemnity conditions.

Ⅴ. 유대민족 포로 및 귀환시대 210년

3.5 The Two-Hundred-and-Ten-Year Period of Israel’s Exile and Return

북조 이스라엘이 그들의 불신으로 인하여 앗시리아에 포로(捕虜)되어 간 후, 남조 유대도 역시 불신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바빌로니아 왕 느부갓네살에게 포로 되어 갔다. 이때부터 그들은 바빌론에서 70년 간 포로 되어 있다가 바빌론이 페르시아에게 망한 후 페르시아 왕 고레스의 조서(詔書)에 의하여 마침내 해방되었다. 유대민족은 그 후 오랜 기간을 두고 예루살렘으로 귀환하였는데, 느헤미야가 남은 유대인들을 영솔(領率)하고 환국(還國)하여 성벽을 재건한 후 그들은 선지자(先知者) 말라기를 중심하고 그의 예언에 의하여 (말 4 : 5) 메시아를 맞기 위한 준비기로 들어갔다. 이때가 그들이 바빌론에 포로 된 때로부터 210년이요, 해방되기 시작하고서부터 약 140년 된 때였다. 이 시대를 통틀어 유대민족 포로 및 귀환시대라고 한다.

The people of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broke their covenant with God, and as a result, they were taken into captivity by the Assyrians. The people of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also sinned against God. As a result, they were taken into exile by the Babylonian king, Nebuchadnezzar. After they spent nearly seventy years as captives, Babylon fell to King Cyrus of Persia, who issued a royal decree liberating them. From that time, the Jewish people began a gradual return to Jerusalem and rebuilt the Temple. Ezra the scribe led the last group of returning Jews to Jerusalem and Nehemiah rebuilt the city wall. Inspired by the prophecy of Malachi (Mal. 4:5), the people began preparations to receive the Messiah. This period came to an end approximately 210 years after the Jews were first taken into exile in Babylon and about 140 years after their liberation by the Persians. This was the period of Israel’s exile and return.

사울왕은 성전이상(聖殿理想)을 이룸으로써, 모세가 제1차로 이스라엘 민족을 인도하여 가지고 가나안 복귀를 하려 했던 21일 기간을 횡적으로 탕감복귀하려 하였다. 그런데 사울왕은 그의 불신으로 말미암아 이에 실패하였으므로, 다시 이 기간을 종으로 된 횡적 탕감기간(橫的 蕩減期間)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찾아 세운 것이 유대민족 포로 및 귀환시대의 210년이었던 것이다.

Had King Saul accomplished the dispensation to build the Temple, one of the indemnity periods which he would have restored horizontally was the twenty-one-day period when Moses was meant to lead the Israelites from Egypt to Canaan in the first national course. After King Saul lost faith and this dispensation failed, this indemnity period had to be restored as a vertical extension of horizontal restoration. The 210-year period of Israel’s exile and return was set up for this purpose.

그리고 이 시대는 상징적 동시성의 시대 중 야곱이 이삭으로부터 장자 기업(長子基業)에 대한 축복을 받은 후, 그를 죽이려 했던 에서를 피하여 하란으로 가서 사탄편 인물인 라반의 요구에 의하여 레아를 맞이하기 위한 7년 간과 라헬을 취하기 위한 7년 간, 그리고 재물을 취해 가지고 가나안으로 돌아온 해까지의 7년 간을 합한 21년 간(창 31 : 41)을 형상적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하는 시대였던 것이다.

This period was the image parallel to the twenty-one-year period i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which extended from the time Jacob received the blessing of the eldest son from Isaac until he returned to Canaan, and was to restore that earlier period through parallel indemnity conditions. It was to restore three seven-year periods: After arriving in Haran, Jacob worked seven years in order to marry Rachel but was given Leah; he worked seven more years for Rachel; he then worked seven years acquiring wealth before he returned to Canaan (Gen. 31:41).

Ⅵ. 메시아 강림준비시대 400년

3.6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유대민족이 바빌론에서 해방되어 가나안으로 귀향한 후 성전과 성벽을 재건하고 선지자 말라기의 예언에 의하여 메시아를 맞이할 민족으로 선 때부터 예수님이 탄생하실 때까지의 400년 기간을 메시아 강림준비시대(降臨準備時代)라고 한다.

After the Jewish people returned from exile to their homeland of Israel, they re-established their faith, rebuilt the city wall and, based on Malachi’s prophecy, began as a nation to prepare for the Messiah. From that time until the birth of Jesus was a period of four hundred years,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사울왕은 그의 성전이상(聖殿理想)을 이룸으로써, 모세를 중심한 이스라엘 민족이 제3차 가나안 복귀노정(復歸路程)에서 소비한 광야 40년 기간을 횡적으로 탕감복귀하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사울왕의 불신으로 말미암아 이것이 실패로 돌아갔으므로, 다시 이 기간을 종으로 된 횡적인 탕감기간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찾아 세운 것이 메시아 강림준비시대의 400년 기간이었다.

Had King Saul accomplished the dispensation to build the Temple, one of the indemnity conditions he would have restored horizontally through indemnity was the forty years of wandering in the wilderness in the third national course. After King Saul lost faith and this dispensation failed, this indemnity period of forty years had to be restored as a vertical extension of horizontal restoration.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was set up for this purpose.

그리고 이 시대는 상징적 동시성(象徵的 同時性)의 시대 중 야곱이 하란에서 가나안으로 복귀한 후 팔려간 요셉을 찾아 애급(埃及)으로 들어가기까지의 40년 간을 형상적(形象的)인 동시성으로 탕감복귀(蕩減復歸)하는 시대였던 것이다.

This period was the image parallel to the forty-year period in the age of symbolic parallels extending from the time Jacob returned to Canaan until his family entered Egypt at the invitation of his son Joseph. It was to restore that earlier period through parallel indemnity conditions.

The Periods in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ir Lengths